
연산자 :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
피연산자 : 연산자의 연산 수행 대상
i++ //후위형 / 대입 후 증가
++i //전위형 / 증가 후 대입
---
자동형변환 :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형 변환 해주는 것
---
산술 변환 (연산 전에 피연산자의 타입을 일치시키는 것)
switch문
단 하나의 조건식으로 많은 경우의 수를 처리할 수 있다
이러한 이유 때문에 많은 경우의 수를 처리할 떄는 if문보다 switch문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
각 case문의 마지막에는 반드시 break문을 기입해주어야 한다
switch문은 조건식에 정수나 문자열이 들어가는 반면 //조건식이 한 번만 나온다
if문은 true나 false가 들어간다 // 조건식이 여러 번 나올 수 있다
switch문은 if문으로 바꿀 수 있지만 if문은 제약조건으로 인해 switch문으로 바꿀 수 없는 경우도 많다
for 과 while 반복문
반복 횟수를 모를 때는 while문
반복 횟수를 알면 for문
for문과 while문은 100% 호환이 가능하다
while문은 조건식이 참이 아닐 시에는 실행되지 않는다
break문과 continue문
continue 다음 반복으로 넘어감
( 전체 반복 중에서 특정 조건 시 반복을 건너뛸 때 유용 )
//입력을 계속 받아야 하면 continue
break는 하나의 반복문을 벗어난다
중첩된 경우 반복문에 이름을 붙이면 하나 이상의 반복문을 벗어날 수 있다
'스터디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 독학 [자바의 정석 | Ch5 ] : 스터디 기록 3 (0) | 2023.09.27 |
---|---|
Chat GPT를 활용하여 Java 기초 공부하기 (0) | 2023.09.14 |
자바 리듬게임 만들기 ( 7강 ) (0) | 2023.08.13 |
자바 리듬게임 만들기 ( 4 - 6 강 ) (0) | 2023.08.06 |
자바 리듬게임 만들기 ( 1 - 3강 ) (0) | 2023.07.29 |